2011년 '이그(IG)노벨상' 생물학상 수상의 영예는 딱정벌레의 섹스'를 연구한 캐나다 출신의 대릴 그와인과 호주 출신의 데이비드 렌츠 등에게 돌아갔다.

또 심리학상은 '일상의 하품'을 연구한 노르웨이 오슬로대 교수에게, 의학상은 '바쁜 순간 오줌 참는 현상'을 연구한 네덜란드-벨기에-호주 공동팀에게, 생리학상은 '붉은다리 거북의 하품'을 연구한  영국-호주-네덜란드-헝가리 공동팀에게 각각 돌아갔다. 

올해로 21번 째를 맞는 이 상의 시상식은 하버드대의 샌더스극장에서 29일(현지시각) 열렸다.IG는 'Improbable Genuine'(있음직하지 않은 또는 기발한 진짜)'라는 뜻이다. 한편으로는 이그노블(Ignoble)과 노벨(Nobel)의 합성어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괴짜 노벨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생물학상은 수컷 딱정벌레가 호주산 맥주병을 암컷으로 착각해 짝짓기를 시도하는 모습을 깊게 파고 들었다. 의학상은 '억제해야하는 여파'라는 제목으로 행해졌다. 사람들이 소변이 아주 마려울 때 어떤 경우엔 더 좋은 결정을, 어떤 경우엔 나쁜 결정을 내리는지를 조사한 점이 인정됐다. 심리학상은 '왜 일상에서 사람들은 하품을 하는가'를 연구했다. 생리학상은 붉은다리 거북의 하품 사례를 들어, 하품이 생물체에 전염된다는 증거는 찾아볼 수 없음을 입증했다. 
프랑스-네덜란드 공동팀은 원반 던지기 선수가 어지럼증을 느끼는 데 비해 해머 던지기 선수는 느끼지 않는 점을 파고 들어 물리학상을 받았다. 일본팀은 화재가 발생한 경우 잠들어 있는 사람들을 깨우기 위해 어떤 농도의 와사비(고추냉이)를 뿌려야 하는지를 연구해 화학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또  캐나다 토론토대의 존 센더스는 햇빛 차단막이 얼굴 앞으로 계속 펄럭여 시야를 가린 가운데 고속도로에서 운전한 사람의 사례를 연구해 공공 안전상을 받았다.   

또한 수학상은 지난 몇 년 간 세상의 종말을 강력히 예언한 학자  6명이 받았다. 이들이 상을 받은 것은 수학적으로 추정할 때 조심해야 한다는 점을 교훈으로 남긴 공로 때문이다. 또 평화상은 리투아니아 수도 빌니우스 시장이 차지했다. 그는 장갑차를 동원해 불법 주차된 고급 외제차를 깔아뭉갰다. 

한편 한국의 이그노벨상 수상자는 문선명 통일교 교주(2000년 경제학상, 대규모 합동결혼식)와 권혁호씨(1999년 환경보호상,향기 나는 양복 개발) 등 2명이다. 

 

참고 사이트 : 와이어드 ( http://www.wired.co.uk/news/archive/2011-09/30/ig-nobel-prize-2011 )


posted by A&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