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은 복음(Euangelion, the gospel)을 ‘아름다운 소식(good news)’, ‘기쁜 소식(glad tidings)’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했다. 복음이 기쁘고 아름다운 소식인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이다.

◈죄빚의 탕감을 선포하기 때문이다

성경은 인간을 하나님께 빚 진 ‘채무자’에 비유한다. 이는 인간이 범죄 했을 때 하나님께 ‘죄삯 사망(롬 6:23)’을 요구받고, 그것을 갚지 못한 채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죄인이 사후 ‘둘째 사망’에 빠뜨려지는 것은 그의 ‘죄 빚’이 청산되지 못한 형벌이다.

하나님은 이러한 죄인들을 불쌍히 여겨 그들에게 ‘사죄(赦罪)의 길’을 마련해 주셨다. 그것이 ‘죄 빚의 탕감’이다(용서는 ‘죄빚의 탕감’이다).

1만 달란트 빚진 자를 탕감해 준 성경 이야기는 죄인이 갚지 못한 ‘죄 빚’을 하나님이 탕감(canceling, 蕩減)해 주신다는 것을 가르친다. ‘탕감(蕩減)’은 ‘죄 사함을 위한 메커니즘(mechanism)’이다. 공의로우신 하나님이 그냥 ‘죄 사함’을 주실 수 없기에, ‘탕감’이라는 ‘법적 수단(the Legal Mechanism)’을 동원한 것이다.

‘일만 달란트 빚진 자’의 이야기에서 ‘탕감’을 ‘죄 용서’와 연결짓고 있음은 같은 맥락이다.

“회계할 때에 일만 달란트 빚진 자 하나를 데려오매 갚을 것이 없는지라 … 그 종의 주인이 불쌍히 여겨 놓아 보내며 그 ‘빚을 탕감’하여 주었더니 그 종이 나가서 제게 백 데나리온 빚진 동관 하나를 만나 붙들어 목을 잡고 가로되 빚을 갚으라 하매 … 악한 종아 네가 빌기에 내가 네 빚을 전부 탕감하여 주었거늘 내가 너를 불쌍히 여김과 같이 너도 네 동관을 불쌍히 여김이 마땅치 아니하냐 하고 주인이 노하여 그 빚을 다 갚도록 저를 옥졸들에게 붙이니라 너희가 각각 중심으로 형제를 ‘용서’하지 아니하면 내 천부께서도 너희에게 이와 같이 하시리라(마 18:24-35)”.

그리고 이 ‘탕감’ 역시 초법적(超法的)이선 안 되기에, 그리스도가 대신 죄값을 지불하는 ‘구속(救贖)’을 통해 이뤄졌다. ‘구속’은 ‘죄 빚을 갚아준다’는 뜻이며, ‘복음’의 핵심 개념이다.

실제로 성경은 ‘죄 사함’과 ‘구속’을 동일시했다. “그 아들 안에서 우리가 ‘구속’ 곧 ‘죄 사함’을 얻었도다(골 1:14)”,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그의 은혜의 풍성함을 따라 그의 피로 말미암아 ‘구속’ 곧 ‘죄 사함’을 받았으니(엡 1:7)”.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은 ‘그리스도의 구속’으로 ‘택자의 죄 빚이 청산됐다(의롭다함을 받았다)’는 확증이었다(롬 4:25). “예수는 우리 범죄함을 위하여 내어줌이 되고 또한 우리를 의롭다 하심을 위하여 살아나셨느니라(롬 4:25)”.

이러한 ‘죄의 구속(the redemption from sin)’은 죄인에게 더할 나위 없는 복음이다. 죄 빚을 청산한 자의 ‘자유와 기쁨’을 이사야 선지자는 이렇게 노래했다.

“여호와의 속량함을 얻은 자들이 돌아오되 노래하며 시온에 이르러 그 머리 위에 영영한 희락을 띠고 기쁨과 즐거움을 얻으리니 슬픔과 탄식이 달아나리로다(사35:10)”.

(※위의 죄 사함, 용서, 사죄는 모두 같은 의미이다.)

◈사형수를 사면해 아들이라고 선포하기 때문이다

날 때부터 ‘사형 언도(롬 6:23)’를 받아 태어난 아담의 후손은 모두 사형 집행을 기다리는 사형수들이다. 사면(赦免)을 받지 않는 한, 그들 모두는 육체의 죽음 후 ‘둘째 사망(계 20:14)’에 처해진다. 이런 절망적인 인류에게 예수 그리스도가 오셔서 사망을 폐해 주셨다.

“이제는 우리 구주 그리스도 예수의 나타나심으로 말미암아 나타났으니 저는 ‘사망을 폐하시고’ 복음으로써 생명과 썩지 아니할 것을 드러내신지라(딤후 1:10)”.

성경은 여기서 ‘사망의 폐지’를 ‘복음’과 연관지으며, ‘복음의 의미’를 분명히 했다.

구체적으로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자에게 그의 ‘구속의 의’를 입혀 ‘사망의 지배’에서 벗어나게 했다는 말이다. 다음 구절 역시 동일한 어법이다.

“그러므로 이제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자에게는 결코 정죄함이 없나니 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생명의 성령의 법이 죄와 사망의 법에서 너를 해방하였음이라(롬 8:1-2)”.

예수 믿는 자를 의롭다고 해 주는 ‘이신칭의’는 인류(사형수)에게 사면을 주기 위한 정지작업 같은 것이다. 이 선언으로 생득적으로 죄인을 옭아매고 있던 사망의 줄이 풀려난다. 인류에게 이보다 더 기쁜 복음이 있겠는가?

그리고 이 사면은 단지 사형을 면하게 해 주는 것을 넘어, ‘종에서 아들’로의 신분 변화와 함께 ‘영생’을 갖다 준다. 성경이 ‘이스마엘’과 ‘이삭’을 통해 ‘율법 아래 있는 종’과 ‘율법 위에 있는 아들’을 비교하며, 후자(아들 이삭)에게만 약속된 유업이 ‘영생’이다.

“성경이 무엇을 말하느뇨 계집종과 그 아들을 내어 쫓으라 계집종의 아들이 자유 하는 여자의 아들로 더불어 유업을 얻지 못하리라 하였느니라(갈 4:30)”. 죄인이 사망에서 벗어난 것만으로도 감지덕지인데, ‘아들의 지위’과 함께 ‘영생’까지 유업으로 받았으니 웬 은혜인가!

이는 순전히 ‘율법의 조화(造化)’때문이다. 곧 율법이 인간의 운명을 갈라놓았다. ‘의(義)’가 없어 율법아래 있는 자는 ‘종(갈 5:1)’과 ‘사형수(롬 7:5)’가 되며, 그리스도의 의(義)로 율법에서 해방되면 ‘아들(갈 4:5)’과 ‘영생의 유업자(갈 3:25-29)’가 된다.

“이와 같이 우리도 어렸을 때에 이 세상 초등 학문 아래 있어서 종노릇 하였더니 때가 차매 하나님이 그 아들을 보내사 여자에게서 나게 하시고 율법 아래 나게 하신 것은 율법 아래 있는 자들을 속량하시고 우리로 아들의 명분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갈 4:3-5)”.

◈믿기만 하면 구원을 얻는다고 선포하기 때문이다

‘예수를 믿기만 하면 구원을 얻는다’는 말은 ‘자기 의(self-righteousness)’로 똘똘 뭉친 ‘자아 건축자들(the self-builders)’에겐 ‘싸구려 구원(salvation for sale)’으로 보일 뿐이다.

그러나 자신은 전적 타락(무능)하여 구원에 기여할 것이 일(一)도 없다고 생각하는 ‘자아 부정자들(the self- renouncers)’에게 그것은 감지덕지할 ‘자비의 복음’이다.

다시 말하지만, 그 말은 공격자들의 비난처럼 구원을 거저 얻으려는 ‘거지 근성(a mean spirit)’의 발로에서가 아닌, 죄인이 ‘자신의 깜냥’을 헤아린 소위, 주제 파악의 결과이다. (이 점에서, ‘구원’에 ‘인간의 기여’가 필요하다고 말하는 이들은 아직 자기에 대한 주제 파악을 못한 사람들이다.)

그들은 율법에 대한 자신들의 무능을 알기에, ‘구원’을 위해 단 일(一)의 기여라도 요구 받는다면 불안과 공포심으로 곧 절망에 빠져버린다. 물론 그것은 그들에게 더 이상 ‘복음’이 아닌 ‘저주’가 된다.

그들은 “누구든지 주의 이름을 부르는 자는 구원을 얻으리라(롬 10:13)”,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롬 1:17)”, “울어도 못하고, 힘써도 못하고, 참아도 못하고 믿으면 하겠네(찬 343장)”와 같은 말씀들을 자기 같은 전적 무능자를 위한 ‘복음’으로 간주하며 오직 그것들에 매료된다.

이는 그들이 공격자들의 말처럼 이 말씀들 안에서 ‘값싼 구원(salvation for sale)’을 보는 것이 아닌, 죄인의 깜량을 헤아리신 ‘하나님의 혜안’과 ‘그의 자비의 은혜’를 읽기 때문이다.

“그리스도는 모든 믿는 자에게 의를 이루기 위하여 율법의 마침이 되셨다(롬 10:4)”는 ‘그리스도’와 ‘믿음’만이 구원의 원천임을 보여주는 ‘구원론’의 결어(結語)와도 같은 말씀이다.

‘그리스도의 율법 성취’는 단 하나의 유예(猶豫)도 없이 100프로 성취하여 죄인이 더 보태거나 보충할 것이 없게 했고, 죄인은 구원을 위해 믿기만 하면 되도록 했다는 뜻이다.

그리스도의 십자가 대속만으로 안 되고 내가 뭔가 보탤 여지가 남겨져 있다면 ‘그리스도가 율법의 마침’이라는 말을 쓸 수 없으며, 그런 미완성된 ‘율법적 의(義)’로는 전적 무능한 죄인을 구원할 수도 없다. 그리고 그것은 ‘복음’이 아닌 인간을 불안과 절망에 빠뜨리는 ‘저주거리’이다. 할렐루야!

[출처] 복음은 왜 기쁜 소식인가?(이경섭 목사)|작성자 창조의 작은 언덕

'마음의 평화 > 가톨릭기독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리대왕 베엘제불  (0) 2019.06.14
posted by A&Z

삼성산 성지

성지순례 2019. 9. 15. 10:33
삼성산 성당은 삼성산 성지에서 약 1,000m 떨어져 있다. 버스 152번을 타고 가다 미림여고.미림정보과학고 정류장에 내리면 성당이 있다. 그 다음 정류장이 삼성산 성지다.

일반적으로 한국 천주교 성지에는 전담신부가 봉직하고 있으니, 삼성산 성당과 삼성산 성지 성당은 대체로 따로 움직인다고 봐야 한다.

한국 가톨릭 삼성산 성지.

net.daum.android.tistoryapp_20190915103037_0_r.jpeg
다운로드
삼성산성지 정류장에 내리면 길 건너편에, 삼성산 성당은 뒷쪽 1천m에 있다는 안내판이 보인다.

<삼성산 성당>
net.daum.android.tistoryapp_20190915122536_0_r.jpeg
다운로드
삼성당 성당의 경우, 대성전이 지하 2층에 있다. 그런데 지하 1층에 있는 남자 화장실이 무척 좁다. 대다수 집들이 오밀조밀하게 붙어있는 신림10동이기 때문일까 .




<삼성산 성지>
삼성산 성지에는 세 분 가톨릭 성인의 묘지가 있다. 기해박해(1839년)  때 순교한 프랑스 선교사 성 라우렌시오 앵베르 범(范) 주교와 성 베드로 모방 나(羅) 신부, 성 야고보 샤스땅 정(鄭) 신부의 유해가 모셔져 있다.

net.daum.android.tistoryapp_20190917060135_0_r.jpeg
다운로드
net.daum.android.tistoryapp_20190917060136_1_r.jpeg
다운로드
net.daum.android.tistoryapp_20190917060137_2_r.jpeg
다운로드
net.daum.android.tistoryapp_20190917060138_3_r.jpeg
다운로드
net.daum.android.tistoryapp_20190917060321_8_rotate.jpeg
다운로드
net.daum.android.tistoryapp_20190917060141_5_r.jpeg
다운로드
net.daum.android.tistoryapp_20190917060142_6_r.jpeg
다운로드
net.daum.android.tistoryapp_20190917060143_7_r.jpeg
다운로드

삼성산 성지에 유해가 봉안된 성인  세 분은 서양인 성직자로서는 처음으로 전교했다는 죄목으로 사형선고 (군문효수)를 받았다.

 군문효수란 조선 시대 군율에 따라 나라에 큰 죄를 지은 이의 목을 베어 군문에 매달던 형벌을 말한다. 주문모 신부, 앵베르 주교, 모방 신부, 샤스탕 신부, 김대건 신부 등이 모두 군문효수형을 받아 순교했다.

'성지순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가톨릭 성지  (0) 2019.09.15
남한산성순교성지  (0) 2019.09.08
새남터 순교성지 성당  (0) 2019.09.01
당고개성당(당고개 순교성지 성당)  (0) 2019.08.26
거제 지세포성당 예구 공소  (0) 2019.08.26
posted by A&Z

한국의 가톨릭 성지

성지순례 2019. 9. 15. 09:31
한국의 가톨릭 성지에 대한 정보는 굿뉴스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의 가톨릭 성지 정보

'성지순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산 성지  (0) 2019.09.15
남한산성순교성지  (0) 2019.09.08
새남터 순교성지 성당  (0) 2019.09.01
당고개성당(당고개 순교성지 성당)  (0) 2019.08.26
거제 지세포성당 예구 공소  (0) 2019.08.26
posted by A&Z

남한산성순교성지

성지순례 2019. 9. 8. 12:52

남한산성순교성지의 성당과 성모마리아 상.

남한산성은 많은 천주교 신자들이 순교한 거룩한 곳이다. 특히 현재의 남한산성 도립공원의 주차장 자리는 고문 받은 신자들의 살이 썩고 병이 돌던 감옥 자리였다고 성지 전담 신부는 전한다.

당시 관헌들에게 붙잡혀온 신자들은 이곳에서 피고름으로 고통받고, 배고픔을 이겨내기 위해 속옷에 붙은 이를 손으로 긁어 먹는 등 비참한 생활을 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조선시대  인조 4년(1626년) 고을 수령인 광주 유수의 치소와 마을이 성 안으로 옮겨진 이후, 천주교 박해 때마다 신도들이 이곳 남한산성에서 순교했다.

 특히 신해박해(辛亥迫害,1791년, 정조 15년) 때부터 신도들이 남한산성에 투옥됐다. 신유박해(辛酉迫害, 1801년, 순조 1년) 때는 남한산성에서 첫 순교자가 나왔다.

이후 기해박해(己亥迫害, 1839년, 헌종 5년)와 병인박해(丙寅迫害,1866년, 고종 3년) 등을 거치면서 약 300명이 참수(斬首)·옥사(獄死)·장사(杖死) 등으로 순교했다.

1999년 11월에는 남한산성순교성지 소성당이 완공됐고, 이 곳에는 김성우 (안토니오).최경환 (프란치스코) 두 성인의 유해가 모셔졌다. 야외 미사터에는 남한산성 성지를 상징하는 대형 십자가와 돌 제대(祭臺)가 조성돼 있고, 이곳에선 매년 5월 성모의 밤과 9월 순교자 현양대회가 열린다.

이밖에 순교자 현양비와 요셉과 마리아, 아기예수를 한국 전통 이미지로 표현한 구유 등이 마련돼 있다.


순교성지 정문.

순교자 현양비.

남한산성순교성지. 순교자현양비 쪽으로 걸어가면 순교성지 입구가 나온다.

'성지순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산 성지  (0) 2019.09.15
한국의 가톨릭 성지  (0) 2019.09.15
새남터 순교성지 성당  (0) 2019.09.01
당고개성당(당고개 순교성지 성당)  (0) 2019.08.26
거제 지세포성당 예구 공소  (0) 2019.08.26
posted by A&Z

새남터 순교성지 성당

성지순례 2019. 9. 1. 20:16
천주교 새남터 순교성지

 

새남터 순교성지 성당은 철로와 아파트, 고가도로 등으로 삼면이 가로막혀  자동차로의 접근이 봉쇄된 느낌을 준다.

숨 막히는 이 느낌은 순교자 절멸의 피비린내 나는 역사와 긴밀하게 연결된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떠올리게 한다.

첫 한국인 사제인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 국내에 들어온 첫 외국인 사제인 주문모 야고보 신부(중국인) 등 많은 성인과  복자를 배출한 '피의 선교 현장'을 연상케  한다. 실로 오묘하다.

이곳  새남터에선 모두 14명의 사제가 순교했다. 그 가운데 12명이 성인, 2명이 복자  품을 받았다.

'천주교 순교성지 새남터 기념관'은 선교를 위해 서슴없이 목숨을 던진 성인,복자들의 발자취를 어느 정도 짐작케 해준다.

성당 입구 왼편에는 순교 성인,복자들의 생명을 앗아간 형틀의 모습이 재현돼 모골이 송연해질 정도다. 머리칼이 쭈뼛 서고, 소름이 돋는다.

성당 입구 오른편엔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의 동상이 서있다.

성당 앞에 덩그러니 서있는 순례자 안내소. 각종 책자가 비치돼 있다.

성당 내부의 모습. 조선시대 포졸들과 망나니들이 사형(목을 칼로 치는 효수형)을 집행하고 있는 장면의 그림도 보인다.

순교한 사제 14명 중 성인 품에 오른(시성된) 12명의 그림이 아름드리 나무 뒤로 보인다.

net.daum.android.tistoryapp_20190901193834_0_r.jpeg
다운로드
성당으로의 차량 접근을 가로막고 있는 고가도로 밑 주차장.

차량 통행로. 용산역 쪽에서 접근하면 성당 주차장까지 들어올 수 있다.

net.daum.android.tistoryapp_20190901193835_1_r.jpeg
다운로드
고가도로 옆의 좁다란 인도에서 바라본 새남터 순교성지 성당.

매일미사(9월호)에  의하면  9월은 '순교자 성월'(한국 천주교 교회 지정) 이다. 우리나라 순교 성인 103위, 순교 복자 124위 등 숱한 순교자들의 굳센 믿음을 본받기 위해 다짐하는 달이다.
posted by A&Z

당고개성당(당고개 순교성지 성당)

성지순례 2019. 8. 26. 09:43

당고개 순교성지 (당고개 성당)는 서울 용산구  신계역사공원에 있다.

가톨릭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당고개 순교성지는 1839년 기해박해 때 평신도 10명이 순교한 곳이다.

당시 죄인에 대한 처형은 주로 서소문 밖에서 이뤄졌다. 하지만 상인들은 설 대목 장을 망치지 않도록 처형을 다른 곳에서 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따라 당고개에서 사형이 집행됐으며,  훗날 이곳은 순교성지로 지정됐다. 당고개 순례성지는 교황청이 인정한 ‘천주교 서울 순례길’ 의 일부다.  아시아에선 첫  국제 순례지이기도 하다. 

posted by A&Z

거제 지세포성당 예구 공소

성지순례 2019. 8. 26. 09:35
천주교 예구공소.
거제시 지세포성당에 속하는 공소다.

천주교 예구공소는 무려 130년의 역사를 자랑한다. 안내 표지판의 위치 탓에, 본당이 어딘지 알 수 없다. 관광객 또는 순례자들의 편의를 위해 안쪽에 푯말을 붙이면 좋겠다.


가는 날이 장날이다. 거제 지세포성당 주임신부님의 영명축일이라 교중미사가 없단다. 할머니 신도들이 지세포성당으로 가기 위해 버스를 이른 시각부터 하염없이 기다리고 있었다.
 
posted by A&Z
양천구 목5동성당은 서울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큰 성당이다. 서너번 째인 것 같다.

무릎을 꿇는 나무가 의자에 설치돼 있는데도 미사 중 무릎을 꿇지 않는 이유가 궁금하다.

주임신부님은 오금동성당에 봉직하다 오셨다고 한다. 엄청난 저음 목소리가 인상적이다. 사람들은 '동굴 속 목소리'라는 애칭으로 친밀감을 표시했다.


성당 인근의 파리공원. 개선문,에펠탑 등 프랑스 파리의 명물을 본뜬 건축물이 눈에 띈다.
posted by A&Z

70주년 가회동성당...국내 첫 미사 집전

성지순례 2019. 7. 28. 12:55
종로 북촌마을에 있는 가회동 성당은 올해로 본당 설립 70주년을 맞는 유서깊은 성당이다. 주문모(야고보) 신부가 조선 땅에서 첫 미사를 집전한 곳이다. 따라서 순례지로 지정돼 운영되고 있다.

3호선 지하철 안국역 2번 출구를 나와 전방 좌측에 헌법재판소(현재 개축 공사 중)를 바라보며 직진해야 한다. 잠시 걷다보면 오른쪽에 정독도서관이 보인다. 이어 왼쪽으로 가회동 주민센터를 지나  조금 걸으면 왼쪽에 천주교 서울대교구 가회동성당이 모습을 드러낸다.

조선 사상 첫 외국인 선교사인 주문모 야고보 신부는 1795년 밀입국했다. 그는 그해 4월 5일 부활대축일을 맞아 북촌 최인길 마티아의 집에서 첫 가톨릭 미사를 집전했다.

가회동 성당은 한국 교회사에서 큰 뜻을 갖고 있다. 본당 관할구역이 주 신부가 신도 강완숙 골롬바의 집에 숨어 지내면서 사목 활동을 펼쳤던 곳이기 때문이다.

1945년 8.15해방 후까지 가회동 구역은 명동성당의 공소로 기능을 했다. 1949년 4월 본당 터에 살고 있던 전길헌 마리아가  집터 292.3평을 기부했고, 6월에는 명동 본당의 장금구 요한금구 주임신부를 모시고 첫 미사를 봉헌했다. 이어 9월 하순에 본당이 설립됐다. 초대 본당 주임신부는 윤형중 마태오 신부.

당시 본당의 신자 수는 40여 명에 그쳤다.
초대 본당 신부는 윤형중 마태오 신부. 6.25  한국전쟁 땐 인민일보 사옥으로 사용됐고, 인민군 철수  후에는 재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본당 건물이 부서졌다.

이후 주한미군민간원조단(AFAK)의 도움을 받아 성당 건물을 짓기 시작해 1954년 12월 3일 노기남 바오로 대주교의 집전으로 축성미사를 봉헌했다. 1963년 국유지 26.4평을 추가로 사들여  본당 부지를 확장했다. 1968년 6월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식 4층 건물(연건평 179평)의 사제관을 준공햏다.  1969년 유치원을 열었고, 경기도 고양군 벽제면 대자리에 본당 묘지(5만평)를 마련했다.

 1970년 샬트르 성바오로 수녀회의  수녀원 분원이 설치됐다. 이후 부지 29.25평을 사들여 현재의 성당 부지를 확정하고 사무실/교육관을 신축해 1999년 4월 준공했고, 11월 본당 설립 50주년 기념행사를 열었다.

진동에 의한 붕괴 위험이  발생함에 따라 새 성전을 지어 2013년 11월 준공했다.

net.daum.android.tistoryapp_20190728124221_0_r.jpeg
다운로드
net.daum.android.tistoryapp_20190728124237_2_rotate.jpeg
다운로드
posted by A&Z
네이버 지식백과에 따르면 종로성당은 1955년 4월 명동 본당에서 떨어져 나와 세워졌다. 초대 신부는 이계중 요한 신부였다. 가톨릭 서울교구장 노기남 주교는 1944년 6월  종로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해 성당터를 사들였다. 사목과 성화의 거점을 마련하기 위해서였다. 6.25  한국전쟁이 끝난 뒤인 1955년 임시 성전을 지어 본당으로 사용했다. 1961년 10월 성전을 새로  지었고, 1987년 5월 성당을 다시 신축했다. 봉헌식은 김수환 추기경의 주례로 거행됐다.

posted by A&Z